top of page

About Three Stories

세가지 이야기에 관하여 

 

영상, 가변설치, 9’28”, 2016

이 작품은 언어와 이미지가 작품 안에서 형성하는 관계에 관한 영상, 설치 작업이다. 3개의 이야기와 3가지 종료의 영상 – 불, 춤, 바닷가-이 서로 교차, 병치 된다.

3개의 티비에는 각각 다른 종류의 영상이 재생되고 3개의 이야기가 3개의 티비를 차례로 이동하며 영상과 함께 한다. 영상이나 이야기의 순서는 무작위적이지만 관객은 그 안에서 필연적인 관계성을 찾으려 노력하게 된다.

 

This work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tles and images in the work. There is three stories and three different kinds of moving images in this work and they are crossed. The three screens are having one kind of moving image for each and the three stories are moving on the screens. 

 

 

  

J once saw children in a shallow pool temporarily installed in a park of a small city. They were inside transparent rubber spheres slightly bigger than their height, wriggling. They were all with excited expressions and rolling in the spheres, but the first thought that came to her the moment she saw them was whether there would be enough oxygen inside. Then: what sort of texture did the noise inside that space have? How would it feel to the skin, and what about the temperature? Such questions followed. The feeling of a sleepless night must be similar to wriggling inside that rubber sphere, she thought. The guarantee that one could escape eventually, although locked up for the moment; the space that is enclosed but always seeing everything due to transparency of the material; the noise within it which pervades transformed into heaviness; something that you cannot end even if you want to end it, until a certain period of time passes.

The window of her bedroom was particularly large, and the light from numerous light bulbs in the corridor of a massive flat block opposite the window was always running into her bedroom window ferociously. For that reason, her bedroom maintained a somewhat bright luminosity even in the night. The cold and bright light permeating through the gaps in the curtain and blinds coloured the ceiling of her bedroom with peculiar patterns, and when she found it hard to fall asleep she would nonchalantly look at the light, lost in thought.

She was prone to morning sleep, or was an owl, or loved the silence of the night, and hence would often toss and turn, not falling asleep, alone at night. She liked the feelings in such moments: that of powerlessness, a little bit of anxiety, and numerous thoughts that filled her mind. They made her a little bit depressed, but such a feeling was not a problem to her. In her life, which was full of the monotone of repetition and the ordinary, the time of being awake late in the night was the sole daily thing she enjoyed that was not everyday life. The fact that so many artists received inspirations in the small hours when they were awake alone, deep in thought, was thanks to those hours being not everyday. However, her small hours were not so productive as those of the artists. She liked letting those hours flow away idly.

When her friend suggested to her that it would be better and healthier to go to bed early and wake up early if she liked the small hours so much, she was convinced inside herself that her friend had, and could not have, any understanding of the true meaning of the small hours.

K always had many worries. Her character was capricious like branches of a willow tree, containing extreme simplicity and complexity, positivity and negativity. No one quite knew whether it was that she was pretending to be positive when in fact she was negative, or that she appeared negative despite being positive. Sometimes she made numerous decisions more bravely than anyone and looked as if she would not think twice about the choices, but in another moment clasped on her head and brought up all the choices she made, agonising. 

What distinguished her from others was that she worried not only about problems in her life but also that of those around her as if they were her own problems. It was not rare for her to suffer from headache, lose sleep, lose appetite and in turn weight, shed tears in secret, and write letters of persuasion pretending to be counsel to her friend whom she thought was making a wrong judgment until she had no strength to move her fingers - all these over other people’s problems. Then, if she felt she helped them, i.e. the other person listened to her advice and acted accordingly, she gained a great amount of energy for life. The energy she gained in the end was almost the same in quantity as that she used sharing the friend’s problem, so in such a case it was not that a great loss for her.

But in many cases, the situation would not flow as she hoped and often plunged her into indescribable emptiness. That was understandable because her exceptional ability to emphasise which made her absorbed in the situation as if it were her own every time would rather make the other person taken aback. What she would commonly say to the person at a loss was along the line of ‘you know how much I care for you, right? This is all because I care…’

Another reason why her counselling did not always succeed was her unrealistic affinity. She did not leave an exception not only for her lifelong friend but also a stranger whom she happened to come across last week, and people usually reacted to her with incomprehension: ‘Why? Who are you to help me like this?’ In such a case, she could not move onto the stage of persuasion where she would say ‘this is all because I care for you a lot’, became sad because of people who became too cold to open up their hearts, and wiped her tears alone saddened by her pitiful self.

S’s mother passed away after suffering from an illness when he was little. He did not remember what illness she suffered from and how she died because he was so little. He was sometimes curious about how she passed away, but for some reason never asked his father about it. It was because he felt as if gaining the knowledge of the name of illness or when, where and how she died would immediately make the memories he had with her become real and swoop on him.

There were not many memories with her that remained in his head. In the last years during which his mother was bedridden, he was able to spend a lot of time with her, and for that reason, that period ironically became the happiest time of his life. His father would come home from work and would tell him off for bothering his ill mother, but in the very next day, after his father went to work, he would snuggle into his mother’s bed and burrow into her embrace without fail.

He was never possessive from childhood, but when something became his, he never lost it or easily got rid of it. And he built an elaborate castle with them, creating his own world. For him, his mother was the only thing among the existences he valued that he lost unintentionally and in an unprepared state. While children would often adapt to losing their mothers in the childhood and live well, his feeling of loss and yearning for her was great.

His father soon met another woman, but did not marry her and lived together with the children. As his father had four children and it was almost impossible to raise them without another woman, he understood the situation even at his young age and tried to accept it. However, each single moment was in fact not easy for him. He was close to his brothers and had many friends, but for some unknown reason the castle in his inner side became higher and higher. When the moment came and even his elaborate castle could no longer hide the reality, he opted to go to a boarding school. For him, it was easier to escape from reality than accepting it. It was sad to live apart from his siblings but the confusion and depression he felt at that time was much greater than parting from his brothers.

Thanks to his unique sense of humour and attractive appearance, he was soon able to become friends with many, and when he came back to the boarding house he could forget everything and lose himself in chats and games with friends. But to his memory he felt as if he was always alone there. A loneliness that was hard to define in any way was always crouching within his inner being.

J 는 언젠가 작은 도시의 공원에 임시로 만들어진 얕은 풀장에서 아이들이 그들의 키만한 투명한 고무공안에 들어가 발버둥을 치고 있는 것을 본적이 있었다. 아이들은 한결같이 고무된 표정으로 그 안에서 뒹굴고 있었지만 그녀는 그것을 보는 순간 저 안에 충분한 산소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다. 그 다음으로 그 안의 공간에 존재하는 소음은 어떤 질감의 것일까. 피부에 와닿는 느낌은, 온도는 어떨까 하는 궁금증들이 뒤를 이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밤의 느낌은 마치 그 고무공안에서 뒹구는 것과 같은 느낌일 것이라고 그녀는 생각했다. 갇혀 있지만 결국에는 안전하게 나올 수 있다는 보장, 밀폐되어있지만 그것의 재질이 투명한 탓에 모든것을 볼 수 있는 공간, 육중한 느낌으로 변질되어 퍼지는 그 안의 소음들, 결국 일정 시간이 지나기 전에는 설사 그만두고 싶다고 해도 그만 둘 수 없는 것.

 그녀의 침실의 창문은 유난히 컸는데 그 창문 맞은 편에 자리잡고 있는 커다란 아파트 복도의 수많은 전등들의 불빛은 언제나 그녀의 침실 창문을 향해 맹렬한 기세로 달려들고 있었다. 그런 이유로 그녀의 침실은 밤에도 어느정도 밝은 조도를 유지했다. 커튼과 블라인드 사이로 스며들어오는 차갑고 밝은 전등 불빛은 그녀의 침실 천장을 묘한 무늬로 물들였고, 잠을 이루지 못하는 밤이면 그녀는 그 불빛들을 무심히 바라보며 상념에 빠져들곤 했다.

그녀는 아침잠이 많은 편이어서, 혹은 밤잠이 없는 편이어서, 아니면 밤의 고요함을 사랑했던탓에 밤에 홀로 잠에 들지 못하고 뒤척이는 일이 많았다. 그럴때면 느껴지는 무력함, 약간의 불안감, 그리고 머릿속을 가득히 매우는 수많은 상념들을 그녀는 좋아했다. 그것은 그녀를 약간은 우울하게 만들었지만 우울감같은것은 그녀에게 문제가 되지 않았다. 반복의 지루함과 평범한 것들로 만연한 그녀의 삶에 홀로 깨어있는 새벽의 시간은 유일하게 즐길수 있는 일상적이지 않은 일상이었다. 수많은 예술가들이 새벽시간에 홀로 깨어 상념에 젖어있는 시간에 많은 영감들을 얻곤 했다는 것은 그것이 일상적이지 않은 시간이었기 때문이리라. 그러나 그녀의 새벽시간은 예술가들의 그것과는 달리 그리 생산적이지 않았다. 그녀는 그저 그 시간을 하릴없이 흘려보내는 것이 좋았다.

언젠가 그녀의 친구가 그녀에게 네가 새벽시간을 좋아한다면 일찍 잠에 들고 일찍 일어나는 것이 훨씬 건강하고 바람직하지 않겠느냐고 제안했을때 그녀는 속으로 저 친구는 진정한 새벽시간의 의미에대해 전혀 이해하고 있지도, 이해 할수도 없다고 확신했다. 

K는 언제나 걱정이 많았다. 그녀의 기질은 수양버들나무에 매달려 흔들리는 나뭇가지처럼 변덕스러워서 극단의 단순함과 복잡함, 긍정과 부정을 함께 지니고 있었다. 그녀가 사실은 부정적이지만 긍정적인척 하는 것인지, 긍정적이지만 부정적인것처럼 보이는것인지는 아무도 알지 못했다. 그녀는 때로 그 누구보다도 호탕하게 많은 것들을 단정내리고는 다시는 그 선택을 뒤돌아 보지 않을 것만 같다가도, 어느순간 머리를 싸매고 그녀가 해왔던 모든 선택들을 다시 끌어올리며 괴로워 했다.

그녀가 다른 사람들과 차별되었던 이유는 그녀가 자신의 삶의 문제들 뿐만 아니라 주변인들의 삶의 문제들 까지도 자신의 문제인것마냥 고민을 했기 때문이었다. 그녀는 다른사람들의 문제로 몇날 몇일을 두통에 시달리고, 밤잠을 설치고, 밥맛을 잃어 살이 빠지고, 남몰래 눈물을 흘리고, 잘못된 판단을 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친구에게 기진맥진하여 손가락을 움직일 힘이 더이상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상담을 가장한 설득조의 편지를 써서 보내는등의 일을 심심치 않게 하였다. 그러고 난후 자신이 그에게 도움이 되었다고 느껴질때면, 즉 상대방이 자신의 조언을 듣고 그 말대로 따라 주었을때면, 그녀는 그것에서 엄청난 삶의 에너지를 얻곤 했다. 그녀가 종국에 얻은 그 에너지는 그녀가 그 친구의 고민을 함께하는 동안 소모한 에너지와 거의 맞먹는 것이었으니, 이런 경우 결국은 그녀에게도 그리 큰 손해는 아닌것이 되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상황은 그녀가 뜻한 바대로 흘러가지 않아 그녀를 형언할수 없는 허무함에 빠뜨리곤 했다. 그도 그럴것이 매번 자신의 일인 양 상황에 빠져드는 그녀의 탁월한 감정이입 능력은 되려 상대방을 당황시키곤 했기 때문이다. 당황한 상대방에게 그녀가 자주 하곤 했던 말은 ‘내가 너를 얼마나 아끼는지 알지? 이게 다 너를 너무나 아끼기 때문에…’ 라는 식의 말이었다.

그녀가 그녀의 상담으로 언제나 성공을 거두지 못했던 또다른 이유는 그녀의 초현실적인 친화력에 있었다. 일생을 두고 친해온 친구 뿐만 아니라 지난주에 어쩌다 알게된 어떤 낯선 이에게도 그녀는 예외를 두지 않았고, 그런 그녀에게 대체로 사람들은 ‘당신이 누군데 나에게 왜 이러느냐’는 식의 반응을 보였던 것이다. 이런 경우그녀는 ‘이게 다 너를 많이 아끼기 때문에’라는 설득 단계로 넘어갈 수가 없었고 너무나 차가워져 마음을 열지 않는 사람들에 슬퍼하며, 그리고 너무나 불쌍한 자기 자신에 슬퍼하며 홀로 눈물을 훔치곤 했다. 

S의 어머니는 그가 어린시절 병을 앓다가 죽었다. 그의 어머니가 어떤 병을 앓다가 어떻게 죽었는지는 그가 워낙 어릴때였던 터라 그의 기억에 없었다. 그는 가끔씩 그의 어머니가 죽은 사연에 대해 궁금하기도 했지만 왠지 한번도 그것에 대해 그의 아버지에게 물어보지 않았다. 그녀가 앓았던 병명이라던가 정확히 언제 어디에서 어떤 죽음을 맞이했는지를 알게 되면 그가 가지고 있는 어머니와의 추억들이 그 순간 현실이 되어 그를 덮칠것만 같았기 때문이다. 그의 머릿속에 남아있는 어머니에 대한 추억은 얼마 되지 않았다. 어머니가 병상에 누워있던 마지막 몇년동안 그는 어머니와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었고 그런 이유로 아이러니하게도 그 기간이 그의 삶의 가장 행복했던 순간이 되었다. 그의 아버지는 퇴근후 집에 돌아와 아픈 어머니를 귀찮게 했다는 이유로 그를 꾸중하곤 했지만 바로 다음날 아버지가 또다시 출근을 하고 나면 그는 어김없이 그의 어머니가 누워있는 침대로 기어들어가 어머니의 품에 파고 들곤 했다.

그는 어릴때부터 소유욕이 강하지는 않지만 한번 자신의 것이 된 물건은 결코 잃어버리거나 쉽게 버리는 일이 없었다. 그리고 그 물건들로 공교한 성을 쌓아 자신만의 세상을 만들었다. 그에게 그의 어머니는 자신이 가장 아끼는 존재중 유일하게 그가 의도하지도, 준비가 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잃어버린 어떤 것이었다. 여느 아이들이 어린시절 어머니를 잃고도 새로운 상황에 적응해가며 잘 지내는 것과는 달리 그가 가진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박탈감은 아주 컸다.

그의 아버지는 머지않아 다른 여성을 만나게 되었지만 그녀와 결혼은 하지 않고 아이들과 함께 동거를 하였다. 아이가 넷이나 되었던 그의 아버지에게 다른 여성을 만나지 않고 홀로 그 아이들을 키워내기란 불가능에 가까웠기 때문에 어린 그도 그 상황을 이해했고 받아들이려 노력했다. 하지만 그 모든 순간순간은 사실 그에게 결코 쉬운일이 아니었다. 그는 그의 형제들과 관계가 밀접했고 친구들도 많은 편이었지만 어쩐지 그의 내면에 존재하는 성은 점점더 높아져갔다. 그가 더이상 그의 공교한 성으로도 현실을 가릴수 없는 순간이 오자 그는 기숙학교로 가기를 희망했다. 그에게는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보다 그것에서 도피하는 편이 더 쉬웠다. 그의 형제들과 떨어져 지내는 것은 슬펐지만 그당시 그가 느꼈던 혼란과 우울감은 형제들과의 이별보다 훨씬 컸다.

기숙학교에 간 그는 특유의 유머감각과 호감형의 외모로 친구들과 금방 두루 친해질 수 있었고 수업이 끝나고 기숙사로 돌아오면 모든것을 잊고 친구들과의 수다와 놀이에 빠져들 수 있었다. 하지만 그가 기억하기로 그는 그곳에서 내내 혼자였던것 같은 기분이었다. 어떤 식으로도 정의 내리기 힘든 외로움이 그의 내면에 항상 웅크리고 있었다.

bottom of page